'사대보험 계산기'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2.26 사대보험 계산기

사대보험 계산기




오늘은 직장을 다니는 직장인분들을 위한 내용입니다. 회사에서 급여를 받으면 4대보험을 제외하고 받을텐데 얼만큼 나가는지 궁금하시다면 사대보험 계산기를 이용해보시면 좋습니다. 간편하게 계산기를 통해서 대략 얼만큼의 금액이 나가는지 확인해두세요.




사대보험이라는것은 4가지 보험을 뜻합니다. 국민연금을 포함하여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등이 포함됩니다. 이는 회사에서 50% 본인 50% 부담하여 납부하고 있습니다. 사대보험 계산기로 어느정도의 비율인지 알아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사대보험 계산기를 이용하는곳은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를 이용하시면 쉽게 확인을 해볼 수 있습니다. 계산기는 물론이며 보험료가 얼마정도인지, 보험급여나 보험내역변경, 해지등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접속하시면 하단에 4대사회보험료 계산기라고 적혀있는 아이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으르 클릭하시면 새창으로 사대보험 계산기이 바로 뜨게 될 것입니다. 이용하는데는 정말 불편함없이 편하게 이용가능하실겁니다.



다음이 사대보험 계산기 화면입니다. 모의계산을 직접 해볼 수 있는것이며 어느정도 오차는 있겠지만 사대보험요율이 변하지 않는이상 크게 틀리지는 않을것입니다. 




본인의 월 급여를 작성하신 뒤 근로자수를 체크하여 계산만 누르면 사대보험 계산기를 손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산을 누르게 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등의 합계를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급여를 300만원으로 측정하여 계산해보았습니다. 사대보험 계산기 결과로 보험료 총액이 나오고 그 이후에 근로자가 부담할 금액과 사업주가 부담할금액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의 경우 각각 50% 부담이지만 고용보험의 경우는 사업주가 조금 더 많이 부담하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대보험 계산기에서 각 항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우선 국민연금입니다. 국민연금의 경웅는 기준 소득월액의 9%를 연금보험료로 납부합니다. 근로자와 사업주는 각각 4.5%로 반반 납부하게 됩니다.



다음은 건강보험료입니다.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하며 보험료율은 6.67%으로 근로자, 사업주가 각각 3.335%씩 부담하게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액으로 잡으며 보험료율은 10.25%입니다. 사대보험 계산기를 통해서 이런부분도 세세하게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다음은 고용보험입니다. 고용보험은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 또는 고용안정과 직업능력개발사업등에 쓰이는 보험금액입니다. 실업급여에 대해서만 근로자와 사업자가 0.8%씩 납부하며 나머지에 대해서는 사업자가 전부 납부를 하고있기에 고용보험은 사업주가 더 많이 납부하게 됩니다.





마지막은 산재보험료로 계산방법은 보수총액 * 보험료율 / 1000 입니다. 산재보험료는 각 사업장마다 계산하는방식이 다르니 이는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시는게 정확할듯 싶네요. 이상 사대보험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Posted by 꾸구꾸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