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나이 58년생 59년생 60년생 61년생 62년생 63년생 64,65,66,67,68,69,70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생각보다 국민연금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거 같더라고요. 저희 어머니도 이번에 연금을 알아보시는 걸 보고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년생별로 비교해보기로 했습니다.
직장인은 4대보험 가입이 의무입니다.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나뉘게 됩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내는 것이 아마 국민연금 일 것입니다. 연금은 10년 이상 납부하면 나중에 연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2020년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10년은 총 120번의 국민연금 납부를 뜻합니다. 꼭 한군데의 직장에서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 누적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생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됩니다.
현재 글을 작성하는 시기는 2020년이며 올해는 1958년생이 만으로 62세가 되는 해입니다. 1958년생부터 만나이를 지나게 되면 국민연금 수령 나이 조건이 됩니다. 생일이 지난 다음 달부터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년도별 정리
생년 | 국민연금 수령나이 |
~1952년 | 만 60세 |
1953년 ~ 1956년 | 만 61세 |
1957년 ~ 1960년 | 만 62세 |
1961년 ~ 1964년 | 만 63세 |
1965년 ~ 1968년 | 만 64세 |
1969년~ | 만 65세 |
국민연금 수령나이 연도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952년생 이전의 분들은 만 60세에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53년, 54년, 55년, 56년생은만61세입니다.
57년, 58년, 59년, 60년의 분들은 만 62세에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고 합니다. 61년, 62년, 63년, 64년은 만 63세 입니다.
65년, 66년, 67년, 68년은 만 64세 입니다.
69년 이후로는 만 65세 입니다.
지금까지 년도별로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확인해보았습니다. 올해 2020년 기준으로는 58년생 국민연금 수령나이라고 하니 도움되셨길 바랍니다.